아이의 미래를 결정하는 '자기조절력'을 강화하는 방법
대교 공식블로그를 찾아주신 여러분, 안녕하세요~! 오늘은 육아에 있어 '자기조절력'이 왜 중요한지, 그리고 아이의 자기조절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어떤 양육 태도를 취해야 하는지 살펴보려 해요.
'자기조절력(self-regulation)'이란 자기 개념이 행동으로 드러나도록 실행에 옮기고 자신의 행동을 수정하거나 외부를 변화시켜 자기 개념과 개인적 목표에 합치되는 결과를 가져오는 심적 및 행동적 과정이에요. 좀 더 쉽게 풀이해보면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조절하는 능력을 의미하죠. 자기조절력은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즉각적인 유혹이나 만족감을 누르고, 보다 큰 만족감과 성취감을 얻기 위해 자신을 절제하고 통제하는 능력이기에 아이가 어릴 때부터 이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도와주셔야 해요.
자기조절력을 키워야 하는 이유로는, 이와 관련한 유명한 연구를 예로 들 수 있는데요. 바로 1960년대에서 1970년대 초까지 스탠포드 대학교의 심리학과 교수인 월터 미쉘 박사가 유아 500명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한 '마시멜로 테스트'랍니다. 이 실험은 4~5세 아동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마시멜로를 하나씩 접시에 나누어주면서, 15분 뒤에 연구자가 돌아왔을 때까지 먹지 않고 기다린 아이들에게는 하나를 더 주겠다고 약속을 한 뒤 아이들의 반응을 관찰한 실험이에요. 이 실험의 목적은 아이들이 얼만큼 자제력을 발휘할 수 있느냐에 관한 것이었는데요. 이 실험의 결과, 15분이라는 기다림의 고통을 견디고 두 배의 기쁨을 맛본 아이들은 30%뿐이었다고 해요.
당시에는 4~5살의 아이들은 목적 달성을 위해 만족을 지연시키는 능력이 온전히 계발되지 않는 수준이므로 욕구 충족을 유예시키는 아이들은 상당한 자기 통제력을 지닌 것으로 결론이 났는데요. 놀라운 것은 14~5년 뒤, 이 아이들이 대학에 진학하는 시기에서 나타난 차이였어요. 수십 년이 지난 1차 실험 참가자 중 155명을 추적 조사한 결과, 첫 번째 마시멜로의 유혹을 뿌리치고 버텨냈던 아이들은 미국 대학수학능력시험인 SAT에서도 마시멜로를 먹은 아이들의 시험 점수 비교에서 평균 점수 차이가 200점 이상이 난 것이죠. 또, 이후의 조사를 거듭하면서 졸업 이후로도 수입이나 결혼 만족도, 건강과 비만 척도 등에서도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고 해요.
비단 이 실험의 결과가 아니더라도, 전문가들은 자기조절력은 목표를 성취하는 데 있어 건강한 욕구와 열정을 쏟아 부을 수 있는 원동력이 된다고 입을 모아 말하고 있는데요. 그렇다면 이러한 자기조절력은 어떻게 강화시켜줘야 할까요?
아이가 어떤 행동을 지속하게 되는 이유는 두 가지가 있는데요. 상대방이 칭찬 같은 긍정적 반응을 보인 경우, 그 행동을 지속하게 되는데 이를 ‘긍정적 강화’라고 하고 그 반대를 ‘부정적 강화’라고 말해요. 이때, 부정적 강화는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사고력이 약한 아이를 양육할 때는 특히 주의해야 해요.
부정적 강화의 가장 대표적인 예는 떼쓰기인데요. 아이가 떼를 쓸 때는 눈길도 주지 말고 얼굴도 아이 쪽으로 돌려서는 안돼요. 만약 3세 이상 아이가 떼를 쓴다면 자기 방으로 들어가게 하는 것도 좋은 방법 중 하나예요. 아이가 떼를 쓴다고 하여 모든 욕구를 들어주면 아이는 자제력이나 자기조절력을 기르기 힘들어져요. 이후, 아이가 진정이 된 다음 어떤 이유로 아이가 원하는 바를 들어줄 수 없는지 납득이 가도록 설명해 주세요.
공공장소나 식당에서 아이가 뛰어다니고 말썽을 부려도 말리지 않는 부모들이 있는데요, 이는 다른 사람에게 피해가 갈 뿐 아니라 안전사고가 일어날 수 있는 위험한 행동이에요. 아이가 걷고 말을 이해하기 시작한다면 식당이나 마트, 버스 등 공공장소에서는 정해진 규칙이 있고 이를 지켜야 함을 분명히 가르쳐야 해요. 특히나 집 밖에서는 규칙에 의해, 때로는 본인의 욕구를 어느 정도 자제해야 한다는 것을 인식시켜주는 것이 좋아요.
아이가 잘못을 했을 때 적절한 훈육은 필요하지만, 본인의 감정을 터뜨리며 그 분풀이로 아이를 통제하는 방법은 옳지 않아요. 이런 경우 아이들은 '엄마(아빠)는 나한테 맨날 짜증만 내는구나'라고 인식하게 돼요. 먼저 아이의 감정이 누그러질 때까지, 혹은 부모 스스로의 감정을 다잡을 때까지 기다린 후 아이에게 자초지종을 듣는 것이 좋아요. 이때 필요 이상으로 아이를 강압적으로 대하거나 자존심을 건드리는 것도 금물이에요. 이렇게 아이의 말을 들어주면 아이 스스로 감정을 다스리면서 자기조절력을 키울 수 있는데요, 아이가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용서를 구하면 이를 받아주시고, 격려해주는 것이 중요해요.
어떤 부모들은 아이가 꼭 해야 할 일을 부탁하듯이 이야기하는 경우가 있어요. 가령 “세수 좀 하고 올래? 방 좀 치워 주지 않을래?” 라고 말하는 것이죠. 하지만 아이들은 이렇게 말할 경우, 장단점을 따져본 이후에 부모의 말을 들을 것인지 말 것인지를 결정하는 경우가 많아 대개 부모가 아이들에게 끌려 다니는 형태가 반복될 수 있어요. 따라서 부모님들은 아이 앞에서 자신의 권위를 지키며, 아이에게 분명하게 지시할 필요가 있어요.
아이를 키우다 보면 아이와 옥신각신할 때가 있는데요, 가장 대표적인 예가 바로 식사 시간이에요. 이때 밥을 먹지 않겠다는 아이를 쫓아다니며 억지로 밥을 먹이는 부모가 많은데, 이런 경우 아이에게 "정말 먹지 않는 거다?"라고 한 번 더 말한 뒤, 그대로 내버려둬야 해요. 음식을 먹으라며 강요하거나 아이를 회유하는 반응도 금물이에요. 대개 아이들은 자존심이 있어, 먹지 않겠다고 말했는데 곧바로 먹겠다고 하진 않아요. 이때 한 끼 정도는 굶어도 큰 문제가 없답니다. 아이에게는 자신이 한 말에 책임을 져야 한다는 것을 알려줘야 해요. 이러한 실랑이는 오히려 아이에게 있어 자기 통제가 무엇인지 알게 해주는 훈련이 될 수 있어요.
이렇게 자기조절력이 무엇이며, 이를 어떻게 키울 수 있는지 소개해드렸는데요. 자기조절력은 단순히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는 능력에 국한되지 않고 걱정이나 좌절, 실망 등과 같이 유쾌하지 않은 감정들에 대한 대처 능력도 포함된답니다. 또 자기조절력이 있는 아이는 긍정적인 감정을 잘 이끌어내어 어려운 상황에서도 잘 견디고 장애를 극복해낼 수도 있고, 자라면서 겪게 되는 일상의 좌절에도 의연히 대처할 수 있어요. 아이의 욕구에 기민하게 반응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때로는 아이에게 안 되는 부분은 분명하게 알려줌으로써 아이가 원하는 것을 모두 얻을 수 없고, 참고 견뎌야 하는 일도 있음을 알려주시길 바라요. 자기조절력은 여기서부터 시작된답니다.
<대교 공식 SNS 채널이 더 궁금하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