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초등학생 사이에서 성조숙증으로 병원을 찾는 아이가 늘고 있어 부모의 세심한 관심이 필요해지고 있어요. 그래서 오늘은 아이의 성조숙증에 대처하는 부모의 자세를 알아보도록 할게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성조숙증으로 진료받은 아이는 2008년 1만 4,751명에서 2017년 9만 5,524명으로 최근 10년 사이 6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어요. 18세 이하 소아·청소년 인구가 2008년 1,114만 명에서 2017년 908만 명으로 줄고 있는 현실을 반영하면 놀랄 만한 수치랍니다.
성조숙증은 또래 아이보다 2차 성징이 빨리 나타나는 증상이에요. 유방과 음모 발달, 고환의 크기 증가, 빠른 키 성장 등 신체 변화가 이에 속하는데요. 여아는 만 8세 이전, 남아는 만 9세 이전에 2차 성징이 나타나면 성조숙증으로 보고 있어요.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여아는 만 8세 이전에 유방이 발달하기 시작하면 병적 성조숙으로 구분하고, 남아는 만 9세 이전에 고환의 크기가 증가하기 시작하면 병적 성조숙으로 구분하고 있어요. 자녀에게 이런 증상이 나타나면 되도록 빨리 소아과를 찾아 성조숙증 정밀검사를 받게 해야 해요.
아이의 성적 성숙은 자연스러운 성장 과정으로 정신적 성숙과 함께 자연스럽게 진행돼야 해요. 성적 성숙이 또래보다 너무 이른 나이에 비정상적으로 빨리 진행되면 중추신경계에 질환이 있을 가능성, 너무 빨리 성장이 멈춰 최종 키가 작은 점, 이로 인한 정서적 문제와 부모의 불안감, 성적 학대의 위험, 성 경험 연령이 빨라지는 문제 등이 나타날 수 있어요. 또, 여아는 너무 빠른 여성호르몬 분비로 부작용이 생길 수도 있답니다.
초등학생 자녀를 둔 부모는 평소 아이의 신체 발달을 유심히 관찰해 아이가 또래보다 사춘기가 빠른 것 같으면 너무 지체하지 말고 소아과 전문의를 찾아 진료와 상담받기를 권해 드려요. 윤신원 중앙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보통 여아는 만 9세 이전, 남아는 만 10세 이전에 병원을 찾는 것이 적당합니다. 혹시 그 연령을 모르고 지나쳤더라도 필요하면 진찰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사춘기가 아주 빨랐던 부모나 형제자매를 둔 아이는 그렇지 않은 아이보다 사춘기가 빠를 가능성이 높은데, 이것이 빠른 2차 성징으로 연결돼 성조숙증이 나타날 가능성 또한 높으니 눈여겨봐야 합니다”라고 말했어요.
아이가 성조숙증인 것 같아 병원을 찾으면 문진과 신체 진찰을 통해 2차 성징 발현 여부와 시기를 파악하고, 사춘기 진행 속도와 급성장 여부 등을 확인하게 되는데요. 또, 손목 사진으로 골 연령을 확인해 성조숙증이 의심되면 뇌하수체 기능 검사로 ‘진성 성조숙증’을 확진해요. 진성 성조숙증은 시상하부와 뇌하수체, 성선(난소 또는 고환)이 활성화된 상태인데요. 이때는 아이의 사춘기 발달을 지연시켜 성장을 또래와 비슷하게 맞춤으로써 최종 키의 손실을 줄이고, 성조숙과 관련된 정신적·사회적 문제를 감소시키는 것을 목표로 치료하게 돼요.
자녀가 성조숙증 증상을 보인다고 무턱대고 걱정할 필요는 없어요. 사춘기가 조금 빠르게 왔다고 모두 치료 대상은 아니랍니다. 병원에서는 대개 진성 성조숙증의 진단 기준을 만족하거나, 사춘기가 너무 빠르게 진행되거나, 성인이 됐을 때 키가 너무 작을 것으로 예상될 때 치료를 권유하는데요. 성적 성숙 속도가 그리 빠르지 않아 정상 사춘기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으면 별다른 치료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에요.
그렇다면 자녀의 성조숙증과 관련해 부모가 꼭 기억해야 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윤신원 교수는 “초등 저학년 때부터 아이의 성장과 성숙 단계를 눈여겨보고, 사춘기가 빨리 진행되는 것 같으면 소아과 전문의를 찾아 상담 받기를 권합니다. 병이 아닌 정상 사춘기일 수 있으니 무조건 걱정하지는 않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단, 비정상적으로 빨리 성적 성숙이 이뤄질 경우 치료가 늦어지면 최종 키의 손실을 피할 수 없으니 아이에게 세심한 관심을 기울여야 합니다”라고 말했어요.
<여아>
1. 가슴에 몽우리가 만져지거나 통증이 생겼다.
2. 유두와 유륜의 경계가 분명해지면서 유륜의 색이 변했다.
3. 겨드랑이나 다리, 음부를 만졌을 때 까칠하다.
4. 땀이 많아지고 채취가 진해지는 등 변화가 생겼다.
5. 사춘기가 빠르거나 성장이 조기에 멈춘 가족력이 있다.
6. 아기 때부터 또래보다 성장 발육이 빨랐다.
7. 발 사이즈나 키가 급속도로 커졌다.
<대교 공식 SNS 채널이 더 궁금하다면?>
'STUDY >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린이 변비 원인과 치료방법 살펴보기 (0) | 2018.12.06 |
---|---|
예방접종 후 열이 떨어지지 않을 때, 어떻게 해야 하나요? (0) | 2018.11.28 |
성장통으로 아파하는 아이를 위한 팁 (0) | 2018.11.20 |
감기랑 비슷한 증세, 하지만 치사율은 높은 '수막구균 뇌수막염' (0) | 2018.11.14 |
몸이 약한 우리아이 유아한약 먹여도 될까요? (0) | 2018.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