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FE/일상

나도 혹시 분노조절장애? 분노조절장애 증상에 대해 알아보자




최근 들어 뉴스나 신문 기사 등을 살펴보면 '분노조절장애'라는 단어가 많이 보여요. 이는 말 그대로 화를 쉽게 참지 못하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말을 뜻하는데요. 오늘은 분노조절장애의 증상을 짚어보고, 이를 대처하기 위한 방법으로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려 해요.









분노조절장애는 충동조절장애(impulse control disorder)의 일종으로, 흔히 분노조절장애라고 알려졌으나 정식 학술 명칭은 '간헐적 폭발 장애'(intermittent explosive disorder)'예요. 이것이 심화하면 분노와 관련된 감정 조절을 이성적으로 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게 되고, 간헐적인 공격 충동이 억제되지 않아 실제 주어진 자극의 정도를 넘어선 파괴 행동을 저지를 수 있어요. 이와 같은 행동은 법적인 문제를 야기함은 물론이고 본인 스스로도 사회적으로 심각한 상황에 처해질 수 있어요.


분노조절장애 증상의 원인은 부당함과 같은 인생의 스트레스에 기인하는데요. 정신적 고통이나 충격 이후에 부당함, 모멸감, 좌절감, 무력감 등이 지속적으로 빈번히 나타나면서 분노조절장애에 이르게 되는 경우가 많아요. 


분노는 말과 행동이 돌발적으로 격렬하게 표현되는 본능적인 감정이에요. 이러한 분노는 표현하는 방식에 따라 드러내거나 혹은 마음속에 품고 있는 방식으로 표현되는데, 분노조절장애는 이 두 가지가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병적으로 표출되는 것이 특징이에요. 때문에 스트레스 상황에 장기간 노출되거나 화가 과도하게 쌓인 것이 잠재되어 있다가 감정을 자극하는 상황이 올 때, 참지 못하고 감정을 과하게 폭발시키는 특징을 보인답니다. 특히 성장 과정에서 정신적 외상이 있을 경우 분노조절이 더욱 어렵다고 해요.







1. 성격이 급하며 금방 흥분하는 편이다. 

2. 내가 한 일이 잘한 일이라면 반드시 인정받아야 하며, 그러지 못하면 화가 난다. 

3. 온라인 게임에서 본인의 의도대로 되지 않아 화가 난적이 여러 번 있다. 

4. 자신이 하는 일이 잘 풀리지 않으면 쉽게 포기하고 좌절감을 느낀다. 

5. 다른 사람들이 나를 무시하는 것 같고 억울하다는 생각이 자주 든다. 

6. 타인의 잘못을 그냥 넘기지 못하고 지적해서 마찰이 일어난다. 

7. 화가 나면 주변의 물건을 집어 던진다. 

8. 화가 나면 상대방에게 거친 말과 함께 폭력을 행사하기도 한다.

9. 분이 쉽게 풀리지 않아 우는 경우가 종종 있다. 

10. 내 잘못도 다른 사람의 탓을 하면서 화를 낸다. 

11. 중요한 일을 앞두고 화가 나 그 일을 망친 적이 있다. 

12. 분노의 감정을 어떻게 다스려야 할지 모르겠다.



이 중 1~3개의 항목에 해당하는 사람의 경우는 어느 정도 감정조정이 가능한 단계이지만 4~8개에 해당하는 경우는 감정조정 능력이 부족하고 주의가 필요한 상태예요. 9개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는 분노 조절이 힘들고 타인에 대한 공격성이 강한 경우이기 때문에 전문가와의 상담이나 약물치료 등이 필요한 단계랍니다.






심각한 수준의 분노조절장애는 병원의 도움을 받아 개선하는 것이 좋아요. 병원 치료를 하면 감정 기복과 충동을 조절해주는 약물치료와 함께 감정을 조절하는 훈련을 병행하게 돼요. 감정조절 훈련은 면담을 통해 자신의 분노를 알아차리고, 행동이 아니라 언어로 생각을 표현하는 법을 배우는 것이에요.


하지만 치료보다 더욱 중요한 것은 평소 자신의 화를 잠재우는 법을 실천하는 것이에요. 자신의 폭력적인 행동을 인정하고, 분노를 스스로 통제하지 못할 지경에 이르지 건에 분노를 다스릴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해요. 


이때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화가 날 때 숫자부터 세는 것인데요. 숫자를 셀 때는 이성을 관장하는 '좌뇌'를 사용하기 때문에 감정에 관여하는 '우뇌'의 작용을 어느 정도 제어할 수 있어요. 상대방 넥타이에 그려진 무늬나 주변에 놓인 펜 개수 등을 세는 것도 도움이 된답니다. 또한, 화가 나게 하는 대상을 보지 않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아무리 강한 분노도 15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이에요. 





이렇게 분노조절장애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어떠셨나요? 여기에 덧붙여 '소리 내어 우는 것'도 분노를 조절하는 데 어느 정도 도움이 된답니다. 우리 신체는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카테콜아민이라는 신경 물질을 많이 생성하게 돼요. 카테콜아민은 뇌졸중이나 심장마비를 일으킬 수도 있는 무서운 스트레스성 호르몬인데요. 감정이 섞인 눈물을 흘리면 카테콜아민이 밖으로 배출돼 마음의 안정을 가져다 준다고 해요. 또, 분노의 감정이 생겼을 때 이를 글로 옮기면 객관적으로 자신의 감정을 들여다볼 수 있어 통제력을 얻는 데 도움이 되니 참고해주세요. 그럼 다음 번에도 알찬 이야기로 여러분을 다시 찾아 뵙도록 할게요. 여기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대교 공식 SNS 채널이 더 궁금하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