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절기상 큰 추위가 찾아온다는 대한(大寒)인데요, 대한은 24절기 중 마지막 절기로 이름 그대로 '큰 추위'라는 뜻의 절기입니다. 음력으로 12월 섣달, 양력으로는 1월 20일 경, 태양의 황경은 약 300도일 때 드는 절기인데요, 올해의 대한은 1월 20일이죠.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양에서는 대한을 겨울을 매듭짓는 날로 보고 계절적 연말일로 여겼으며, 이날 밤을 '해넘이'라고 부르기도 했습니다. 오늘은 24절기 유래 및 24절기를 통한 날씨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절기란, 태양이 하늘에서 1년 동안 지나는 길을 15도 간격으로 등분하여 계절을 입춘(立春), 대한(大寒) 등 24개로 나눈 것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24절기는 예로부터 우리 조상들이 사용해왔던 것이고, 매년 날짜도 조금씩 달라지기 때문에 당연히 음력일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하지만 24절기는 음력을 사용하던 우리나라와 중국에서 태음력과 태양력의 차이를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엄밀히 말하자면 음력도 양력도 아닙니다. 단지 태양을 중심으로 지구가 한 바퀴 돌 때 만들어진 원을 15도 간격으로 나누어 하나씩 움직일 때마다 절기를 만들어 넣은 것이 24절기가 된 것이죠.
24절기의 유래는 중국남부지방이라고 알려져 있는데요, 24절기가 처음 쓰인 때는 중국의 주나라라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날짜를 셀 때 사용하던 음력은 날짜를 계산하는 데는 문제가 없었지만, 지구가 태양의 주위를 돌면서 생기는 날씨의 변화까지는 나타낼 수 없었습니다.
24절기는 지구가 태양의 공전주기를 24등분 하여 각 등분된 절기의 날씨변화를 구분해 낸 제도로, 음력이 달을 기준으로 했다면 24절기는 태양을 기준으로 한 절기표인 것이죠.
과거에는 대부분이 농경사회였기 때문에 기후나 계절의 변화에 민감할 수 밖에 없었는데요, 농사를 짓기 위해 씨를 뿌리고 추수를 하기에 가장 좋은 날씨를 알아야 했습니다. 이렇게 농사에 필요한 것은 태양이었기 때문에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정해진 24절기가 적극적으로 활용되기 시작한 것입니다.
우리가 즐겨 사용하면서도 24절기에 해당되지 않는 절기를 '잡절'이라고 하는데요, 이 중 하나가 '삼복(三伏)'입니다. 흔히 초복, 중복, 말복은 24절기로 착각하기 쉽지만, 정확한 표현으로는 24절기표에 속하지 않고 일자를 정하는 데만 관련됩니다. 이런 의미에서 사복도 양력에 해당하며 초복과 중복은 각각 하지로부터 계산하며, 두 복일 사이의 간격은 10일입니다. 그러나 말복은 입추와 관련이 있으며, 중복과는 10일 또는 20일의 간격이 있는데요, 만약 20일의 간격이 있는 해라면 이를 월복이라고도 부릅니다.
청명은 24절기 중 하나로 우리가 흔히 식목일 또는 한식(寒食)이라고 부르는 날과 매년 겹치게 되는데요, 한식은 대략 양력으로 식목일 무렵이 되고, 동지(양력 12월22일)가 지난 후 105일째 되는 날로 조상의 묘소에 성묘를 하는 날입니다. '한식'이란 찬음식을 먹는다는 의미로 중국 춘추시대의 진(晉)나라의 개자추가 충심을 지키기 위해 불에 타죽은 것을 기리기 위해 불을 피우지 않고 찬음식을 먹은 데서 유래한다고 합니다.
원래 겨울철 추위는 입동(立冬)에서 소설(小雪), 대설(大雪), 동지(冬至), 소한(小寒)으로 갈수록 추워진다고 하는데요, 소한 지나 대한이 일년 가운데 가장 춥다고 하지만 이는 중국의 기준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사실 대한보다 소한 무렵이 가장 추운데요, 옛말에 '춥지 않은 소한 없고, 포근하지 않은 대한 없다.', '소한의 얼음이 대한에 녹는다.'라는 속담까지 있을 정도로 대한이 소한보다 오히려 덜 춥습니다.
음력월 |
절기 |
양력일자 |
소개 |
황경 |
1월(孟春月) |
입춘 (立春) |
2월 4일경 |
봄의 시작 |
315° |
우수 (雨水) |
2월 19일경 |
비가 내리고 싹이 틈 |
330° | |
2월(仲春月) |
경칩 (驚蟄) |
3월 6일경 |
개구리가 잠에서 깨어남 |
345° |
춘분 (春分) |
3월 21일경 |
낮이 길어지기 시작 |
0° | |
3월(季春月) |
청명 (淸明) |
4월 5일경 |
봄 농사를 준비 |
15° |
곡우 (穀雨) |
4월 20일경 |
농사비가 내림 |
30° | |
4월(孟夏月) |
입하 (立夏) |
5월 6일경 |
여름의 시작 |
45° |
소만 (小滿) |
5월 21일경 |
본격적인 농사의 시작 |
60° | |
5월(仲夏月) |
망종 (芒種) |
6월 6일경 |
씨 뿌리기 |
75° |
하지 (夏至) |
6월 21일경 |
낮이 가장 긴 시기 |
90° | |
6월(季夏月) |
소서 (小暑) |
7월 7일경 |
여름 더위의 시작 |
105° |
대서 (大暑) |
7월 23일경 |
더위가 가장 심한 때 |
120° | |
7월(孟秋月) |
입추 (立秋) |
8월 8일경 |
가을의 시작 |
135° |
처서 (處暑) |
8월 23일경 |
일교차가 커짐 |
150° | |
8월(仲秋月) |
백로 (白露) |
9월 8일경 |
이슬이 내리기 시작 |
165° |
추분 (秋分) |
9월 23일경 |
밤이 길어지는 시기 |
180° | |
9월(季秋月) |
한로 (寒露) |
10월 8일경 |
찬 이슬이 내림 |
195° |
상강 (霜降) |
10월 23일경 |
서리가 내리기 시작 |
210° | |
10월(孟冬月) |
입동 (立冬) |
11월 7일경 |
겨울의 시작 |
225° |
소설 (小雪) |
11월 22일경 |
얼음이 얼기 시작 |
240° | |
11월(仲冬月) |
대설 (大雪) |
12월 7일경 |
겨울 큰 눈이 옴 |
255° |
동지 (冬至) |
12월 22일경 |
밤이 연중 가장 긴 때 |
270° | |
12월(季冬月) |
소한 (小寒) |
1월 6일경 |
겨울 중 가장 추울 때 |
285° |
대한 (大寒) |
1월 21일경 |
겨울 큰 추위 |
300° |
지금까지 24절기 유래를 비롯해 24절기를 통한 날씨에 대해 알려드렸는데요, 봄, 여름, 가을, 겨울 각 계절에 따라 딱 떨어지게 나누어지는 절기를 보면서 새삼 우리 선조들의 지혜가 얼마나 뛰어났는지 깨닫게 되네요. ^^
'LIFE >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옷은 정리하기가 어렵다? 겨울 옷장정리 깔끔하게 하는 법! (0) | 2017.01.24 |
---|---|
설날 맞이 올바른 한복입는법 & 세배하는법 (0) | 2017.01.24 |
보이지 않는 공포! 미세먼지 대처방법 (0) | 2017.01.19 |
겨울 레포츠의 꽃 스키! 스키장 준비물 완전정복 (0) | 2017.01.18 |
브로콜리 씻는법 및 브로콜리 효능 알려드려요~! (0) | 2017.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