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육아

모유수유와 신생아 황달의 상관관계 살펴보기



대교 공식블로그를 찾아주신 여러분, 안녕하세요~! 오늘은 초보 부모들을 당황하게 하는 신생아황달에 대해 살펴보려 해요. 또, 신생아황달과 관련해 모유수유를 지속해도 좋을지 걱정하시는 분들을 위해 둘 사이의 상관관계를 짚어보는 시간을 가지려 하는데요. 그럼 지금부터 내용을 살펴볼까요?







황달은 아이의 피부가 노랗게 변하는 현상을 의미해요. 대부분의 아기들은 여분의 적혈구를 지니고 태어나는데, 출생 직후 이 여분의 적혈구는 파괴되어 몸 밖으로 배출된답니다. 이때, 적혈구의 헤모글로빈이 파괴되는 과정에서 빌리루빈이라는 노란색 색소가 생겨나요. 그런데 빌리루빈이 미처 몸 밖으로 배출되지 못해 과도하게 남아 있게 되고, 혈액 속에 축적되면 피부나 근육, 점막 속에 침착되어 피부나 눈동자가 노랗게 보이게 되는데 이것을 신생아 황달이라고 해요. 


신생아 황달은 생후 첫주 내로 만삭아 약 60%, 미숙아의 약 80%에게서 관찰이 될 정도로 흔히 볼 수 있는 증상이에요. 






신생아 황달은 생리적인 황달과 병리적 황달로 나뉘는데요. 여기서 생리적인 황달은 출생 후 적응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이에요 대부분은 별다른 치료 없이 사라지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생리적인 황달은 크게 위험하진 않아요.


하지만 병리적인 황달은 아기의 혈액 내 빌리루빈 농도가 높아져 생기는 것으로,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면 영구적인 뇌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어요. 때문에 빌리루빈 수치를 수시로 체크하며, 신속한 진료와 적절한 치료를 진행해야 해요.









황달은 분유보다 모유 수유를 할 때 더 잘 생기고 오래가요. 하지만 치명적이고 심각한 황달은 오히려 모유를 잘 먹지 못한 아기들에게서 나타나는데요. 모유 수유가 충분치 않아 생긴 탈수나 칼로리 섭취 감소로 인해 황달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해요.


한편, 모유 수유를 일찍 시작하면 생리적 황달이 심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데요. 보통은 출산 후 1시간 이내에 모유를 먹이기 시작하며 아기가 배고파할 때마다 첫 주일 동안은 하루에 8~12회 모유를 먹이면 돼요. 이렇게 하면 모유량이 늘어나게 되고, 아기의 빌리루빈 수치를 낮추는 데도 도움이 된답니다. 특히 출산 첫날의 모유 수유 횟수가 중요한데, 초유는 아기의 장을 자극하여, 빌리루빈을 다량함유하고 있는 태변을 배출해내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에요. 이 시기 아기는 푸르고 묽은 변을 자주 보는데, 이는 초유를 먹는 아기에게 흔히 있는 일로 정상 반응일 뿐이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된답니다.




한편, 모유 수유를 하는 아기 중에서도 극소수는 생후 일주일이 지나도 황달이 지속되는 경우가 있어요. 이때 황달 증상이 가벼우면 모유 수유를 계속해도 되며, 이런 경우 빌리루빈의 농도가 서서히 감소해 2개월까지 낮은 농도가 지속된다고 해요. 빌리루빈 수치가 심한 경우에는 1~2일간 모유 수유를 중단하고 분유를 먹이면 호전이 되는데, 이후부터는 모유를 다시 먹여도 황달이 심해지지는 않는다고 하니 참고해 주세요. 


신생아 황달은 모유수유를 하면 2~3주 정도 지속되지만 점차 증세가 사라지게 되며, 분유 수유를 할 경우에도 대부분 2주 정도면 증상이 좋아진답니다. 하지만 3주 이상 황달이 지속된다면 전문의의 진찰에 따라 검사와 치료를 받아야 해요. 


간혹 아기의 피부색이 짙은 경우, 신생아 황달임을 모르고 지나치는 분들이 계신데요. 황달이 생기면 아기가 모유를 잘 먹지 못하고 잠을 지나치게 많이 자는 경향을 보여요. 황달이 심한 아기들은 깨우지 않고 그대로 놔두면 5~6시간 계속 잠을 자서 탈수가 함께 오는 경우가 많으므로 주의해 주세요. 혹여 아기가 계속 잠을 자느라 모유를 제대로 먹일 수 없는 경우에는 즉시 병원을 찾아 의사의 지시를 따라야 하니 이 점을 기억해주세요~!





<대교 공식 SNS 채널이 더 궁금하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