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교육

토론과 질문으로 사고력 Up! 하브루타교육

 

 

 

 

얼마 전부터 우리 교육의 대안으로 유대인의 교육법인 하브루타교육이 떠오르고 있는데요, 하브루타교육의 핵심은 한 마디로 꼬리에 꼬리를 무는 질문과 토론으로 교육하는 것입니다. 오늘은 하브루타교육의 기본 내용과 가정에서 적용하기 좋은 하브루타교육법을 알려드릴게요.

 

 

 

 

 


웹사이트 ‘유대인 정보(jinfo.org)’에 따르면 1901년부터 2016년까지 노벨상을 받은 사람 중 유대인 개인 수상자는 197명으로 전체 수상자의 22%를 차지한다고 하는데요, 공동 수상자를 포함하면 36%, 즉 노벨상의 3분의 1 이상을 유대인이 독식한 것입니다. 유대인 수가 세계 인구의 약 0.2%에 불과한 것에 비하면 대단한 성취인데요, 이를 근거로, 흔히 사람들은 유대인이 세계에서 가장 똑똑하다고 말하기도 합니다. 그런데 이것이 사실일까요? 객관적인 정보를 보면 의아할 수 있는데요, 지능지수로 말하자면 평균 아이큐 세계 1위는 106을 기록한 우리나라입니다. 반면 유대인의 나라 이스라엘은 94를 기록해 세계 중상위권 수준인데요, 현재 우리나라는 노벨평화상을 제외하고 수상자가 전무합니다. 이런 차이는 과연 어디에서 비롯할까요?

 

 

 


 

우리나라와 유대인의 주요한 차이로 교육방법을 꼽습니다. 우리 교육은 보고 듣고 외우는 교육인 데 반해 유대인은 질문과 토론을 하는 교육인데요, 유대인들은 자신들이 대화와 토론으로 똑똑하게 ‘키워진다’고 말합니다. 이런 교육의 중심에 하브루타교육이 있는데요, 하브루타는 질문하고 대화하고 토론하고 논쟁하는 것, 즉 함께 이야기 나누는 것을 의미하며, 유대인 문화의 바탕이 됩니다. 어떤 상대와도, 어떤 주제로도 하브루타를 할 수 있죠. 이야기를 진지하게 주고 받으면 질문과 대답이 되고 곧 대화로 이어지며 거기서 더 전문화되면 토론과 논쟁이 됩니다. 가정에서부터 이런 훈련을 탄탄하게 하기 때문에 이들의 대화, 토론, 논쟁은 수준급이고 학교에서도, 사회에서도 큰 환영을 받습니다. 세계 곳곳에서 유대인이 최고의 인정을 받는 것은 하브루타 덕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유대인의 하브루타교육은 가정에서 시작하는데요, 이들은 교육의 초점을 질문과 토론으로 자립심을 기르는 데 두고 있습니다. 식탁에서 부모와 아이가 거리낌 없이 의견을 나누는 것은 일상인데요, 부모가 귀담아 듣는 가운데 아이는 하루 일과를 논리정연하게 이야기하고 모르는 부분을 질문합니다. 매일 저녁 아버지는 탈무드를 읽어준 다음 아이의 생각을 물어보고, 진지하게 토론하는 시간을 갖기도 합니다. 또, 안식일인 매주 금요일 저녁에 모든 가족이 둘러앉아 긴 대화 시간을 갖는데요, 아이들은 학교에서도 하브루타로 공부합니다. 유대인 학교에서는 교사가 일방적으로 강의하고, 아이들은 조용히 듣기만 하는 수업이 없습니다. 곱셈구구를 배우는 시간에도 무조건 외우는 식이 아닌, 학생끼리 짝을 지어 답을 찾기 위해 토론하고 어떤 방법이 더 좋은지 의견을 나누는 수업을 합니다. 이런 수업은 학생이 상대방에게 교사가 되어 가르치고, 배우기도 하면서 서로에게서 최상의 아이디어를 끌어냅니다. 또한 토론을 따라가기 위해 주제를 제대로 이해하려 노력하기 때문에 자기주도 학습의 시작이 됩니다.

 

 

 

 

 

 

 


유대인은 매일 탈무드라는 교재로 하브루타를 하는데요, 하지만 하브루타의 주제는 한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가족끼리 마음을 터놓고 진심으로 대화하면서 서로의 생각을 물어보고 토론하는 것인데요, 가족이 마주 앉아 대화하는 시간이 부족한 우리나라에서는 주기적으로 대화 시간을 갖는 것에서 시작하면 좋습니다. 유대인이 안식일 식탁에 할아버지에서 손자까지 모여 하브루타를 하는 것처럼, 매주 가족이 모여 앉아 대화가 풍성한, 긴 식사시간을 가져 보세요. 이런 식사를 매주 지속하는 것만으로도 하브루타의 효과가 나타난답니다.

 

 


유대인은 학교에 다녀온 아이에게 ‘선생님 말씀 잘 들었니?’ 하고 묻지 않고 ‘선생님께 무슨 질문을 했니?’라고 물어본다는데요, 말 잘 듣는 착한 아이보다 궁금한 것이 많은 아이를 높이 평가하는 것입니다. 질문은 새로운 것을 발견하는 기회라고 할 수 있는데요, 유대인인 아인슈타인은 ‘뉴턴의 물리학을 넘어서는 나만의 물리학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자신에게 던졌고, 이 해답을 찾는 과정에서 상대성 이론을 발견했습니다. 아이가 좋은 질문을 할 때는 아낌 없이 칭찬해 주세요. 더불어 부모도 질문을 자주 하는 본을 보여주는 것이 좋은데요, 아이에게 설명하거나 요구하는 대화를 하는 대신 늘 아이의 의견을 묻는 대화를 해보세요.

 

 


유대인이 가장 많이 하는 질문은 ‘너의 생각은 어떠니?’, ‘왜 그렇게 생각하니?’ 같은 것이라고 하는데요, 하브루타의 핵심은 나의 생각과 상대방의 생각을 합해 ‘우리의 생각’을 도출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이때 중요한 것은 남과 다른 생각이라고 배척하지 않는 것인데요, 사람이 100명이라면 100가지 생각이 있을 수 있다는 전제 하에 아이의 생각을 존중하고, 남들과 다른 독특한 생각을 해낼 때 적극적으로 칭찬해주세요. 이유를 구체적으로 들어 칭찬하면 더욱 좋습니다.


 

 


유대인은 ‘남이 알려주는 것은 진정으로 내 것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아이가 질문을 하면 순순히 정답을 알려주지 않는다고 하는데요, 일방적으로 교훈을 알려주려고도 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아이가 질문을 하면 ‘넌 왜 그런 거 같아?’라고 되물어서 한 번 더 깊이 생각해 보게 하고, 스스로 생각해서 답이 나오지 않으면 책을 찾거나 인터넷으로 검색해서 알아보게 한다고 해요. 공부하는 방법은 알려주되 아이의 질문에 직접 해답은 주지 않는 것인데요, 아이가 질문에 틀린 대답을 할 때 ‘틀렸어’ 혹은 ‘답은 OO이야’라고 지적하거나 고쳐 주기보다 스스로 답을 생각해 내도록 유도하는 질문을 던져 아이 스스로 깨우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브루타의 목적은 많은 지식을 아는 것이 아니라 생각하는 힘을 기르는 것인데요, 사실 요점을 추려 외우는 데 한 시간이 걸린다면 토론하고 논쟁하는 방법은 다섯 시간이든 열 시간이든 그 몇 배가 걸리는, 비효율적인 공부입니다. 그럼에도 유대인이 이런 방법을 고수하는 것은 지식을 많이 아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상황에 대한 통찰력과 사고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아이와 하브루타를 할 때는 이런 접근법으로 토론하는 과정 그 자체에 가치를 두고 즐겨보세요. 이유를 제쳐두고 무조건 지식을 외우는 공부로는 아이의 사고력을 키우지 못한답니다.

 

 


유대인은 아이가 어리더라도 자신의 일은 자신이 판단해 결정하게 하는데요, 부모나 교사가 일방적으로 아이가 배울 것을 결정하는 우리나라와 다르답니다. 왜 배워야 하는지 모르는 채 배워서는 효율이 오르지 않고, 나아가 부모에게 반항심을 키울 수 있습니다. 이를 피하려면 무엇을 배울지 결정하는 단계에서 아이와 대화를 나누며 잘하는 것을 스스로 발견하도록 돕고, 성취욕구를 느끼며 할 수 있는 공부 방법을 찾아야 하는데요, 이런 과정에서 공부 동기가 생긴 아이는 스스로 학습하는 동력이 생겨 실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미국의 제퍼슨고등학교는 SAT 시험 전국 1위를 하는 명문학교인데요, 그 비법은 무엇일까요? 바로 OR(Outside Reading) 프로그램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학생들에게 매일 책을 읽은 후 작문을 하게 하는데요, 독서를 한 후 자기 생각을 정리해 표현해 보는 것은 모든 과목의 기반이 될 수 있습니다. 결국 책 읽기 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책을 읽고 말이든 글이든 생각을 해서 자기 것으로 만들어야 의미가 있는 것이지요. 이것이 바로 자료를 읽고 생각을 나누는 하브루타의 방식입니다. 독서 교육을 할 때 무조건 책을 많이 읽으면 좋다는 생각에서 벗어나 책을 대화의 도구로 사용해 보세요. 책은 많이 읽는 것보다 깊이 있게 읽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와 책을 읽을 때는 좋은 책을 천천히 읽어주면서 아이의 반응을 끌어내보세요. 읽는 도중 아이가 질문하거나 이야기하는 것을 막지 않고 대화하고, 책을 읽은 다음에는 생각할 거리를 다양하게 던져보세요.


 


 

하브루타 공부법은 적극적으로 상대방을 가르치기 때문에 의무감과 책임감을 갖고 책을 읽거나 자료를 조사해야 합니다. 바로 여기에서 공부의 힘이 생기게 되는데요, 이를 응용해 새롭게 배운 내용을 친구에게 가르치는 활동을 해보세요. 엄마나 동생 등을 가르쳐도 좋습니다. 상대방에게 선생님이 되어 학교에서 배운 내용을 설명해 주는 것인데요, 듣는 사람은 중간중간 궁금한 점을 질문하면서 듣습니다. 누군가를 가르치려면 제대로 알아야 하기 때문에 자신이 배운 내용을 확실히 이해하려 노력하고, 가르치다 보면 잘 모르는 부분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 자기가 아는 것을 제대로 전달하기 위해 연습해 보는 과정에서 표현력도 기를 수 있습니다.

 

 


 

혼자 공부할 때도 하브루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요, 우선 소리 내어 낭송하기입니다. 눈으로만 읽으면 시각만 자극하지만 소리를 내 낭송하면 말하고 듣는 활동까지 더해져 뇌를 더 많이 자극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자연스럽게 공부 효율이 높아지게 되는데요, 공부한 내용을 점검할 때는 두 사람이 묻고 답하듯 혼자서 묻고 답하는 시간을 가져보세요. 이렇게 질문하면서 공부하면 자신이 모르는 것을 알아낼 수 있어서 빠뜨리고 지나가는 부분을 줄일 수 있습니다. 뇌는 다른 사람보다 자신의 목소리에 민감하기 때문에 자신의 목소리를 들으면 집중이 더욱 잘 되고, 지루하지 않게 암기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토론과 질문을 통해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브루타교육에 대해 알려드렸는데요, 틀에 박혀 있는 주입식 교육이 아닌, 스스로 지혜를 찾아가는 방법을 가르치는 하브루타교육, 여러분도 가정에서 하브루타교육을 시작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