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FE/일상

추석의 유래와 우리 민족 전통 놀이 살펴보기



대교 공식블로그를 찾아주신 여러분, 안녕하세요~! 이제 곧 있으면 대한민국의 최대 명절 중 하나로 손 꼽히는 추석이 다가와요. 오래간만에 만날 가족과 친척분들을 생각하며 많은 분들이 설레는 마음으로 명절 선물을 고르고 계실 것 같은데요! 오늘은 다가오는 명절을 맞아 추석의 유래를 짚어보고, 우리 조상님들이 즐겨왔던 전통 놀이로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는 시간을 가질게요. ^^







추석은 다른 말로 중추절 또는 한가위라고 하는데요. 여기서 한가위의 유래는 신라시대에서 찾을 수 있어요. 삼국사기의 기록을 살펴보면 "왕이 신라를 6부로 나뉘고 왕녀(王女) 2인이 각부를 통솔하여 무리를 만들고 7월16일부터 길쌈을 하여 8월15일 그 성과를 살펴 진 편이 술과 음식을 내놓아 이긴 편을 축하고 가무(歌舞)와 놀이로 즐겼으며 이를 ‘가베(嘉俳)’라 하였다" 라는 기록이 있는데요. 여기서 '가베'란 '가운데'라는 뜻을 지니고 있어요. 이날 길쌈 놀이를 즐긴 것은, 일년 중 음력 8월 15일이 우리의 대표적인 만월 명절이기에 이를 기렸거나 혹은 오곡백과가 일년 중 가장 넉넉하고 풍성한 때이기에 이를 기념하기 위한 것이라 전해지고 있어요. 


한편, '중추절仲秋節)'은 한자 뜻 그대로 가을의 중간 달을 의미하는데요. 우리나라 세시풍속사전에 의하면 중국에서는 가을 명절을 중추(中秋) 혹은 월석(月夕)이라 불렀다고 해요. 월석이란 달빛이 가장 좋은 날을 의미하는데요. 우리나라에서는 신라 중엽 이후 한자가 성행하게 되면서 중국인이 사용하던 '중추'나 '월석' 등의 말을 합하고 축약해  '추석(秋夕)'이라 부르기 시작했다는 설이 있다고 해요. 


아직까지 추석의 기원을 설명할 수 있는 명확한 문헌 자료는 없지만, 삼국사기와 중국의 고대 문헌을 살펴보면 우리나라에는 신라 초기에 이미 오늘날 추석의 원형이 되는 대표적인 명절이 있었음을 알 수 있는데요. 추석을 보내면서 아이들에게 이러한 우리 역사를 알려준다면 더욱 좋을 것 같아요~!







중요무형문화재 제8호로 지정되기도 한 강강술래는 추석 전통 민속놀이 중에서는 우리에게 가장 잘 알려진 놀이예요. 강강술래는 손에 손을 잡고 둥근 달 아래에서 밤을 세워 돌고 도는 놀이로, 둥글게 원을 지어 노랫가락에 맞추어 돌아가며 춤을 추는 놀이랍니다. 처음에는 느린 가락인 진양조에 맞추어 춤을 추다가 점점 도는 속도를 빨리 하여 춤을 추게 되는데, 이 때 앞소리꾼이 노래를 부르면 다른 사람들은 ‘강강술래’하며 뒷소리를 받아줘요. 강강술래는 세계무형문화유산으로도 지정되어 있답니다.





거북이 놀이는 수수 잎을 따 거북이의 등판처럼 엮은 뒤, 이것을 등에 메고 엉금엉금 기듯 온 마을을 돌아다니며 춤 추는 놀이예요. 이 거북이를 앞세우고 어릿광대와 사물패가 줄줄이 따르며 흥겹게 장단을 연주하고 집집마다 방문하며 놀이를 즐겼다고 해요. 이 놀이는 단순한 오락이나 놀이 기능뿐만 아니라 마을의 안녕과 한 해의 풍년을 기원하는 성격을 지니고 있어요. 우리 민족은 거북이를 용왕의 아들이자 비범한 존재로 여겨왔는데요. 게다가 거북은 바다 동물 중에서도 가장 오래 살고 병이 없는 동물로 알려져 있어, 이러한 거북이를 앞세우며 마을 주민들의 무병장수를 바라고 마을의 잡귀와 잡신을 쫓아냈다고 해요.







소 놀이는 한 해 농사가 풍년이기를 기원하고 바라는 데서 비롯된 세시풍속으로, 놀이의 중심인 소와 일꾼의 노고를 위로하기 위한 목적도 있었어요. 소 놀이는 농악대와 소로 가장한 사람들 외로 여러 마을 사람들이 함께 참여해 진행되는데요, 남자 두 사람이 한 조가 되어 멍석으로 만든 소 분장을 하고 소의 시늉을 해요. 마을 사람들은 한 해에 농사를 잘 지은 사람이나 마을의 부농에게 가장한 소를 데리고 가서 놀이판을 벌이는데요. 이렇게 집집마다 가장한 소를 끌고 가면 집주인이 나와 일행을 맞이하고 마당에서 한바탕 농악과 놀이가 펼쳐졌다고 해요. 여기에 집주인은 술과 떡 등을 사람들에게 대접했고, 한바탕 놀이를 끝낸 뒤에는 다른 집에 가서 다시 이 놀이를 반복했다고 해요. 소 놀이 마지막에는 그 해 가장 일을 잘한 머슴을 뽑아 소에 태우는 놀이를 하는데, 이는 소를 모는 일꾼은 물론 소에게도 한 해 수확의 영광을 돌리는 의미라고 해요. 





가마싸움은 매년 추석마다 우리 조상님들이 즐겼던 놀이로, 가메쌈, 자매쌈이라고도 불렸어요. 이 놀이는 가마와 기를 들고 마을의 골목을 누비다가, 마을의 가장 넓은 장소에 집결해 상대 진영의 가마를 부수거나 깃발을 빼앗는 놀이인데요. 최고 수장 역할을 맡은 접장의 명령에 따라 일제히 앞으로 나가거나 뒤로 물러서는 등, 여러 방향으로 빙빙 돌며 상대방의 허점을 노려 돌격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어요. 이때 가마끼리 심하게 부딪치게 하거나 발로 가마를 부수면서, 상대편의 가마를 먼저 부수거나 기를 많이 빼앗은 편이 승리하게 된답니다. 





올게심니는 놀이는 아니지만 우리 민족 고유의 세시 풍속인데요. 추석을 전후해 잘 익은 벼와 수수, 조 등의 곡식의 이삭을 한 줌 베어낸 뒤, 이것을 묶어 기둥이나 대문에 걸어두는 풍속이에요. 이러한 행위에는 다음 해에도 풍년이 들게 해 달라는 기원을 담고 있어요. 때문에 올게심니를 할 때는 간단한 술상을 차려 이웃에게 베풀기도 했으며, 올게심니를 했던 곡식은 다음해에 씨로 쓰거나, 떡으로 만들어 사당에 바치기도 했답니다. 






이렇게 우리 민족의 대명절 중 하나인 추석의 유래와, 추석에 행해졌던 다양한 전통 놀이를 소개해드렸는데 잘 살펴보셨나요? 조상님들이 즐겼던 옛 놀이에는 한 해의 고생을 치하하고, 마을 사람들 모두가 건강하길 바라는 염원과 다음 해의 풍년을 기원하는 마음이 깃든, 놀이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답니다. 요즘에는 명절의 의미가 예전과 같지 않고, 전통 놀이를 즐기는 사람들도 점차 찾아볼 수 없어 이러한 풍습이 있었다는 것조차 모르는 친구들이 많이 있는데요. 명절을 맞아 그 유래와 의미를 짚어보고 우리 민족의 문화를 잠시라도 기억해주었으면 하는 바람이에요. 




<대교 공식 SNS 채널이 더 궁금하다면?>